리눅스 | echo 명령어

[Linux, Unix] export, echo 명령어 알아보기

echo 명령어

유닉스 환경에서 개발을 하다보면 echo라는 명령어를 종종 사용하게 됩니다. 간단하게 정리하려고 합니다. 유닉스를 사용한다면 Bash, ZSH라는 이름을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요. Bash와 Zsh는 쉘 스크립트 언어를 말합니다. 터미널을 키면 그 터미널이 동작하는 방식을 결정하는 것이 쉘 스크립트 언어입니다.

변수와 echo

우리가 알아볼 것은 운영체제 변수와 쉘 변수 입니다. 운영체제 변수는 우리 프로그램이 돌아가는 운영체제의 변수를 말하는 것이 쉘 변수는 터미널 내에서 변수를 말하는 것입니다.

water="삼다수"

명령어를 터미널에서 입력한다면 water라는 쉘 변수를 만드는 것이 됩니다. echo 명령어는 변수를 출력하는 프린트 함수인데요.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water에 저장된 값을 터미널에 출력합니다. 만약 $를 빼고 출력한다면 문자열을 출력하는 것으로 받아들여 water를 그대로 출력하게 됩니다.

echo $water
unset water

unset 명령어는 변수를 삭제하는 역할을 하지요. 내 컴퓨터가 어떤 쉘 스크립트 언어를 사용하는지 궁금하면 bash echo $SHELL 명령어를 통해서 어떤 쉘 스크립트 언어를 사용하고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.
지금까지의 변수들은 쉘 변수들을 다루어 보았구요. 이제 운영체제 변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.

env

위의 명령어를 입력하게 되면 운영체제 변수들을 출력하게 됩니다. 모든 프로그램은 운영체제위에서 돌아가기 때문에 운영체제 변수를 다른 말로 환경변수라고도 합니다.

댓글

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

[Linux, Unix] export, echo 명령어 알아보기

IEEE 754 부동 소수점 반올림과 근사